레이블이 디스크통증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디스크통증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5년 2월 1일 일요일

강남 우리들병원 이상호 회장님, '내시경 허리수술을 받은 10,228명의 결과 분석' 논문 게재(Neurosurgery)

강남 우리들병원 이상호 회장님, '내시경 허리수술을 받은 10,228명의 결과 분석' 논문 게재(Neurosurgery)


Neurosurgery에 게재된 논문 입니다.
저도 함께 작업한 논문이라 저자에 들어가있습니다...허헣

경피적 내시경 요추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 10,228명의 결과에 대해 분석한 논문 입니다.

기존에 나와있는 다른 논문은 일반적으로 수술의 성공적인 결과만을 보고하는데 반해 이 논문에서는 술 후 재수술의 시행률 및 시행원인 등에 대해 자세히 기재하였습니다.

또한, 2001년 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12년간의 데이터를 모은 것이라 의미가 있습니다.


조사결과, 불완전한 디스크의 제거, 재발 등의 원인으로 4.3%의 환자들이 재수술을 시행하였습니다.

적절한 수술의 indication과 훌륭한 working channel position은 PELD수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또한 다양한 형태로 탈출된 디스크를 제거하는데에 있어서도 디테일한 술기로 수행되어야 한다는 결론 입니다.


2015년 1월 22일 목요일

[논문리뷰]요천추부 디스크 높이의 방사선학적 평가 : Radiographic evaluation of the lumbosacral disc height

[논문리뷰]요천추부 디스크 높이의 방사선학적 평가




요천추부 디스크 높이의 방사선학적 평가에 대한 논문 입니다.

논문에서 방사선학적 요소로서 디스크 높이를 측정할 때에 reference로 많이 인용하는 논문 입니다.

1999년에 Skeletal Radiology에서 발행 되었습니다. 이래봬도 impact factor가 1.743이네요.


Disc height 측정에 대한 그림입니다.

disc height의 anterior(a), middle(b),posterior(c)부분을 각각 측정하여 합산한 뒤, 3으로 나눕니다.
일반적으로 위와 같이 측정을 하고 해당 논문을 reference로 달죠~

본 연구에서는 166명의 환자에 대해 MRI를 촬영하여 퇴행이 되지 않은 요추3-4번~ 요추5-천추1번의 디스크 높이와 두께, 횡돌기(transverse process)를 측정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