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척추수술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척추수술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5년 1월 22일 목요일

[논문리뷰]요천추부 디스크 높이의 방사선학적 평가 : Radiographic evaluation of the lumbosacral disc height

[논문리뷰]요천추부 디스크 높이의 방사선학적 평가




요천추부 디스크 높이의 방사선학적 평가에 대한 논문 입니다.

논문에서 방사선학적 요소로서 디스크 높이를 측정할 때에 reference로 많이 인용하는 논문 입니다.

1999년에 Skeletal Radiology에서 발행 되었습니다. 이래봬도 impact factor가 1.743이네요.


Disc height 측정에 대한 그림입니다.

disc height의 anterior(a), middle(b),posterior(c)부분을 각각 측정하여 합산한 뒤, 3으로 나눕니다.
일반적으로 위와 같이 측정을 하고 해당 논문을 reference로 달죠~

본 연구에서는 166명의 환자에 대해 MRI를 촬영하여 퇴행이 되지 않은 요추3-4번~ 요추5-천추1번의 디스크 높이와 두께, 횡돌기(transverse process)를 측정하였습니다.

[논문리뷰]척추수술 시행 후 수술부위의 감염을 진단하는데 있어서의 18FDG PET/CT의 역할 : Role of 18 F-Fluoro- D -deoxyglucose PET/CT in Diagnosing Surgical Site Infection After Spine Surgery With Instrumentation

[논문리뷰]척추수술 시행 후 수술부위의 감염을 진단하는데 있어서의 18FDG PET/CT의 역할


























2015년 1월에 Spine에 출판된 논문 입니다. 바로 얼마전에 나왔네요.

제목을 보자마자 반가웠습니다.
PET(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기)-CT는 암 진단 시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척추분야에서 사용하지 않는 줄 알았는데요, 척추수술 후 infection진단 용으로도 사용한다고 하네요.

암세포 진단 시, 방사선 동위원소인 18FDG(Fluoro Deoxy Glucose)를 환자에게 주입하여 암세포가 있는 부위에서 glucose(포도당)이 많이 소모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infection을 진단하는 것 일까요?


본 연구에서는 2008년부터 2012년까지 후방경유 요추체 유합술(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을 시행한 환자 811명을 대상으로 혈액검사 결과와 임상적 증상, PET-CT촬영 결과를 가지고 술 후 감염여부를 조사하였습니다.

조사결과, PET-CT촬영 결과 infection이 있다고 진단된 8명의 환자들은 실제로도 infection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PET-CT는 척추수술 후의 감염을 진단하는데에 있어 효과적이라는 결론 입니다.










척추분야와 관련된 PET-CT논문이 있는지 찾아본 결과, 15개 정도가 검색되었습니다.
막상 쓸만한 논문은 별로 없네요..

아래는 그 중 2개의 초록 입니다.




2014년 4월 7일 월요일

Disc height and sagittal alignment in operated and non-operated levels in the lumbar spine at long-term follow-up: a case-control study

Brief review

이 논문은 요추유합술을 시행한 환자 3명과 시행하지 않은 환자 25명을 수술시행 9년 후 추적관찰하여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측정한 연구 입니다.

방사선학적 결과는 Distortion Compensated Roentgen Analysis (DCRA)라고 하는 지표를 이용해서 측정했고 임상적 결과는 ODI, VAS(back)으로 측정하였습니다.

결과적으로 디스크의 높이는 유합술을 시행한 환자의 모든 분절에서 감소하였으며,
유합술을 시행한 환자와 시행하지 않은 환자간의 디스크의 높이나 시상면 정렬에는 차이가 없었습니다.

요추 디스크의 퇴행은 유합술을 시행 9년 후, 해당 환자의 모든 분절에서 증가하였으며, 임상결과 또한 좋지 않다는 결론 입니다.

이 논문에서는 방사선학적 변수(disc height, sagittal alignment )을 측정 시 DCRA라고 하는 지표를 사용한 점이 특징 입니다. DCRA에 대한 자세한 측정 방법은 아래의 그림 참고하세요.


*Title: Disc height and sagittal alignment in operated and non-operated levels in the lumbar spine at long-term follow-up: a case-control study
요추 수술 분절과 수술 분절에서의 디스크의 높이와 시상면 정렬에 대한 장기 추적 결과: 사례통제 연구
*Authors: Froholdt A, Brox JI, Reikerås O, Leivseth G.


PURPOSE
To compare lumbar disc degeneration at 9-year follow-up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who had instrumented lumbar fusion or no fusion.


MATERIAL AND METHODOLOGY
1. The main outcomes: 1)disc height, 2)sagittal alignment
-measured by Distortion Compensated Roentgen Analysis (DCRA)

2. Secondary outcome: Oswestry Disability Index and VAS back pain.











RESULTS
Subjects: 48 patients (23 fusion + 25 no fusion)
Follow-up period: pre and 9 year
including level: L2- S1
-Disc height was reduced at all levels independent of fusion.
-No difference in disc height and sagittal alignment was observed between patients fused and not fused.
-There were weak correlations, ranging from 0.04 to 0.36, between clinical and radiological parameters.


CONCLUSION
Lumbar disc degeneration increased at all measured levels independent of fusion and correlated poorly with clinical outc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