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우리들병원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우리들병원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4년 12월 24일 수요일

[통계&기타자료]대학병원과 척추전문병원 SCI(E) 논문 출판 건수 비교 -ver.2 최근 2년간의 업적 비교

[통계&기타자료]대학병원과 척추전문병원 SCI(E) 논문 출판 건수 비교 -ver.2 최근 2년간의 업적 비교



지난 포스팅에서 대학병원과 척추전문병원에서 출판된 SCI(E)논문 건수를 비교했었는데요, 이번에는 최근 2년간의 출판 업적을 비교해보겠습니다.

검색도구 및 조사대상 병원 선정 과정은 지난번과 동일하니 지난 포스팅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1. 검색방법 설정 및 시작









지난번과 동일하게 Pubmed를 이용했습니다.
다만 이번에는 기간 설정을 위해 상세검색을 이용했습니다.

위의 그림이 상세검색창인데요, 제가 좋아하는 고려대학교 병원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먼저 소속 설정을 위해 1)Affiliation 카테고리에서 Korea university를 입력했습니다.

두번째로 척추분야 결과만 얻기위해 2)전체항목에서 Spine을 입력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최근 2년간의 결과만 보기위해 3)Date-Publication 카테고리에서 2013 to present 로 입력했습니다.


2. 검색결과

















1번에서 설정한 조건대로 검색한 결과, 51건이 나왔습니다.
다른 5개 병원도 동일한 조건으로 검색하여 그 결과를 아래와 같이 그래프로 나타냈습니다.













전체적으로 지난 포스팅에 올렸던 전체 출판건수와 비슷한 경향을 보이네요.


다만 2013,2014년도 출판건수만 보았을 땐 우리들병원보다 고려대학교 병원의 건수가 더 많았는데, 전체 건수로 보았을 땐 우리들병원이 더 많네요.


또한 척추전문병원 세 곳중에서는 우리들병원이 단연 높은 건수를 보이고 있습니다.


지난번에 말씀드린대로 SCI(E) 논문출판 건수만 가지고 평가하기는 힘들지만, 다수의 병원에서 최근 2년 동안에도 척추 치료 분야에 있어 학술적 근거 수립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했다는 흔적을 볼 수 있었습니다.

2014년 12월 15일 월요일

대학병원과 척추전문병원 SCI(E) 논문 출판 건수 비교

대학병원과 척추전문병원 SCI(E) 논문 출판 건수 비교


몇몇 대학병원과 척추전문병원에서 출판되는 SCI(E)논문 출판 건수를 비교해 보았습니다.


각 기관별로 연구의 규모 자체가 다른 경우가 있기 때문에 건수만을 가지고 이렇다 말할 수 없지만, 한번 재미삼아 비교해 보았습니다.
물론 연구의 퀄리티를 따지자면 피인용지수인 Impact factor를 일일이 비교해야겠지만, 하나하나 검색하기에는 무리가있어 우선 SCI등재 건수만 비교했습니다.


1. 검색 도구 및 조사대상 병원 선정






먼저 검색도구로서 다들 잘 아시는 Pubmed를 이용했습니다.
Pubmed에서 검색되더라도 SCI나 SCI(E)급이 아닌 경우도 있다고 하는데.. 몇 백개 되는 논문의 SCI(E) 등재 여부를 일일이 판단하기는 어려워서 이런경우는 배제했습니다.


조사대상 병원은 주요 대학병원 세 곳과, 척추전문병원 세 곳 입니다.
조사대상 선정은 그냥 제 기준으로 좋아하는 곳들 골랐습니다ㅎㅎ..재미삼아 하는거니까요!!

*대학병원: 서울대학교 병원, 연세대학교 병원, 고려대학교 병원
*척추전문병원: 우리들병원, 척병원, 나누리병원



2. 검색 방법 설정 및 시작



















검색시작!

제가 좋아하는 서울대병원 검색 결과를 예시로 들었습니다.

상세검색을 위해 빨간색 박스 안의 Advanced-> 소속표시를 위해 Affiliation에 Seoul national university를 입력했습니다.
그리고 대학병원은 척추분야 뿐만 아니라 다양한 과의 논문 결과가 한꺼번에 검색되기 때문에 검색조건에 SPINE을 추가했습니다.
(척추전문병원의 경우 검색된 모든 논문이 척추분야이므로 검색 조건에 SPINE을 넣지 않고 소속만 입력해서 검색했습니다.)

-척병원의 경우, 소속에 Chuk만 검색했더니 'Cardiac Medical Unit, Grantham Hospital, 125 Wong Chuk Hang Road, Hong Kong'이라는 곳이 함께 검색되어 척추전문병원인 '척병원' 자료만 얻기위해 소속을 'Seoul Chuk'으로 입력하였습니다.

검색 결과는 379건 입니다.
파란박스는 총 379건의 결과 중 해당 페이지에는 20개의 결과를 먼저 표시한다는 의미 입니다.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앞서 선정한 조사 대상 병원 여섯 곳의 논문 출판 건수를 검색하였습니다.
*병원 별 상세 검색 조건
서울대학교 병원: (Seoul national university[Affiliation]) AND SPINE
연세대학교 병원: (Yonsei university[Affiliation]) AND SPINE
고려대학교 병원: (Korea university[Affiliation]) AND SPINE
우리들 병원: Wooridul[Affiliation]
척 병원: Seoul Chuk[Affiliation]
나누리 병원: Nanoori[Affiliation]

재현성 100%이니 Pubmed에서 직접 검색해보세요^^


그 결과를 아래 그래프로 나타냈습니다.





편의상 '병원'은 빼고 이름만 입력했습니다. 아 척병원은 '척'만 썼더니 어색해서 '척병원'으로 입력했습니다.

역시 대학병원의 논문 건수가 많네요.


고려대학교 병원의 경우 검색조건에서 소속을 'Korea university'로만 했기 때문에 고대안암병원과 고대구로병원의 결과가 구분없이 모두 산출되는 점은 양해해주시기 바랍니다. 다른 대학병원들도 동일합니다.


대학병원과 척추전문병원간의 논문 출판 건수에 확실이 차이는 보이네요.
대학병원의 경우 평균 2~300개의 결과가 나온 반면 척추전문병원은 265건을 기록한 우리들병원을 제외하고는 100건 미만 입니다. 나누리병원의 경우 총 12건이네요..


앞서 말씀드린대로 각 기관별로 연구의 규모 자체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건수만을 가지고 판단하는데에는 어려움이 있지만, SCI라고 하는 국제 저널에서 인정한 공식적인 연구 결과가 많을 수록 많은 환자를 치료하여 객관적 데이터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가지고 다양한 연구를 진행한 것이라고 볼 수 있으므로 환자들이 병원 선택시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저번에 한 학회에 갔더니, 교육기관에서 나온 연자가 "요즘에는 당장 눈에 보이는 SCI논문 출판 건수로만 연구자를 평가하는 행태가 만연하다"고 지적하는 것을 들었습니다.

물론 동의합니다만, 논문은 장기간 다양한 연구자들이 일정한 프로토콜을 가지고 진행한 연구를 결과물로서 도출한 것이고, 의료진에게 이러한 연구과정은 환자를 더 정확하고 안전하게 치료하고자 하는 노력의 결실이라고 여겨지니까..이와 같은 논문 건수를 마냥 무시할 수는 없지 않을까 싶습니다^^

2014년 12월 10일 수요일

2014년 미래형 HT 인재양성 활성화 방안 포럼

오늘 양재동 엘타워에서 열린 29회 미래형 HT 인재양성 활성화 방안 포럼에 다녀왔습니다.
한국 보건산업 진흥원에서 주최하고 보건복지부에서 후원한 포럼 입니다.
과학기술인력개발원장님, 의학교육평가원장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R&D 진흥본부장님 등 많은 분들이 오셔서 보건분야 연구인력 양성을 위한 다양한 말씀을 해주셨습니다.









































특히 기억에 남는 발표는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의 안덕선 원장님의 '융합형 중개, 임상연구 인력 양성 방안' 이었습니다.
미국, 영국 등과 비교하여 우리나라의 연구 인력 양성을 위한 지원 실태에 대해 말씀하셨는데요,
영국의 경우 의료인력 양성을 위해 약 8~9조 가량의 예산을 투입한다고 하네요.. 그에 비해 우리나라는 정말 턱없이 부족하더라구요.
SCI급 논문 출판 편수로만 성과를 인정하는 우리나라에 비해, 단기적인 성과를 내놓지 못하더라도 오랫동안 높은 수준의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연구 인력 양성을 도모하는 선진국의 인프라가 부러웠습니다...

























HT포럼은 처음 가봤는데, 내년에도 열리면 꼭 가봐야겠습니다.

2014년 12월 9일 화요일

2014년 제태크박람회에 우리들병원 참가!

2014년 12월 5,6일에 강남 세텍(SETEC) 전시장에서 2014년 제태크박람회가 열렸습니다!

제태크 박람회에서는 국내 은행/금융/보험/카드 등 관련 금융그룹 등이 모두 참가하여 재테크 관련 정보를 제공했는데요, 이와 함께 전시관 섹션중 국내 금융그룹 참가기업 외 '라이프 스타일관'으로서 재테크 정보와 더불어 참관객 대상 다양한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우리들병원에서 참가했습니다.

양 일 간 척추 및 관절에 대한 건강상담도 해드리고 혈당체크 및 보행분석을 무료로 해드려 많은 참관객이 몰렸습니다.






특히나 보행분석의 경우, 관성센서를 이용하여 발걸음 수를 측정하고 보행주기 일치도 및 분산도를 분석하여 보행패턴을 검사해주는 새로운 방식의 검사라서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지셨습니다.





이틀간 400분이상 방문하셔서 건강체크를 하고 가셨습니다.
무료로 재무상담도 받고 건강도 체크하고 정말 좋은 자리였습니다.

2014년 7월 27일 일요일

우리들병원 이정환 원장 The Spine Journal논문 등재- Comparison of cervical kinematics between patients with cervical artificial disc replacement and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 for cervical disc herniation

Brief review
우리들병원 이정환 원장님이 The Spine Journal 최신호에 출판한 논문 입니다.

경추 디스크 탈출증이 있어 cervical artificial disc replacement혹은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을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경추의 운동학적인 결과를 비교한 연구입니다.
임상적 결과로서 통증지수(VAS), 일상생활 장애지수(K-NDI)를 측정하였고, 운동학적인 결과분석을 위해 3차원 동작분석을 시행했습니다.

측정결과, VAS, NDI등의 임상결과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습니다.
3D 동작분석 결과, cervical artificial disc replacement를 받은 환자군이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를 받은 환자군에 비해 굽힘, 편 상태에서 움직임의 범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유지되었습니다.
아래 링크 들어가서 읽어보세요^^



*Title: Comparison of cervical kinematics between patients with cervical artificial disc replacement and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 for cervical disc herniation.


*Authors: Lee JH, Kim JS, Lee JH, Chung ER, Shim CS, Lee SH




BACKGROUND CONTEXT
Although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 (ACDF) is an effective treatment option for patients with cervical disc herniation, it limits cervical range of motion, which sometimes causes discomfort and leads to biomechanical stress at neighboring segments.

In contrast, cervical artificial disc replacement (ADR) is supposed to preserve normal cervical range of motion than ACDF. A biomechanical measuremen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advantages and clinical implications of ADR.

However, literature is scarce about this topic and in those available studies, authors used the static radiological method, which cannot identify three-dimensional(3-D) motion and coupled movement during motion of one axis.


PURPOSE
-To compare the clinical parameters and cervical motion between ACDF and ADR (by 3-D motion analysis)
-To investigate the ability of ADR to maintain cervical kinematics.


STUDY DESIGN
Prospective case control study.


PATIENT SAMPLE
Patients who underwent ADR or ACDF for the treatment of single-level cervical disc herniation.


OUTCOME MEASURES
Visual analog scale (VAS)
Korean version of Neck Disability Index (NDI, %)
3-D motion analysis


METHODS
-Clinical outcomes: evaluated by VAS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NDI (%) to assess pain degree and functional status.

-Cervical motions: assessed by 3-D motion analysis in terms of sagittal, coronal, and horizontal planes.
(Markers of 2.5 cm in diameter were attached at frontal polar (Fpz), center (Cz), and occipital (Oz) of 10-20 system of electroencephalography, C7 spinous process, and both acromions)

-These evaluations were performed preoperatively and 1 month and 6 months after surgery.





RESULTS
»Pre op: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VAS, NDI (%), and cervical range of motion (between two groups)

»After surgery: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VAS and NDI (%)

-In motion analysis, significantly more range of motion was retained in flexion and extension in the ADR group than the ACDF group at 1 month and 6 month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ateral tilt and rotation angle. In terms of coupled motion, ADR group exhibited significantly more preserved sagittal plane motion during right and left rotation and also showed significantly more preserved right lateral bending angle during right rotation than ACDF group at 1 month and 6 month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ther coupled motions.
 



CONCLUSION
-3-D motion analysis could provide useful information in an objective and quantitative way about cervical motion after surgery. In addition, it allowed us to measure not only main motion but also coupled motion in three planes.

-ADR demonstrated better retained cervical motion mainly in sagittal plane (flexion and extension) and better preserved coupled sagittal and coronal motion during transverse plane motion than ACDF.

-ADR had the advantage in that it had the ability to preserve more cervical motions after surgery than ACDF.

2014년 6월 23일 월요일

우리들병원, SBS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행을 통해 의료지원

우리들병원, SBS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행을 통해 의료지원


​출처: 우리들병원 블로그 ,  SBS


어렸을 때부터 몸이 약해, 또래 아이들과 쉽게 어울리지 못한다는 지호.. 
유일한 가족인 지호 엄마 역시 교통사고 이후 허리 통증이 심각해져 일을 할 수 없는 상황. 
지호를 위해서라도 하루빨리 건강해지고 싶지만 빠듯한 형편 탓에.. 근본적인 치료와 정밀검사는 엄두도 내지 못하고 있다. 안타까운 상황 속에 우리들병원에서 지호엄마의 진료에 도움을 주기로 약속했다고 합니다.
좋은 일 많이 하시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