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ODI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ODI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5년 2월 15일 일요일

'한국어 버젼 일상생활장애지수 설문의 유효성 테스트' 논문 출판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한국어 버젼 일상생활장애지수 설문의 유효성 테스트' 논문 출판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일상생활 불편함 정도, 장애지수(ODI, Oswestry Disability Index)를 한국어버젼으로 바꾸어 validation한 연구 입니다. 

최근 논문은 아니고 2005년 경에 출판된 논문인데요, 10년전에 이미 우리들병원에서 KODI validation을 수행했다니 놀랍네요.^^


ODI는 의학논문에서 임상적 결과를 조사할 때에 VAS(back,leg)과 함께 널리 쓰입니다.
특히 척추분야에서는 지금까지 읽은 논문 중 임상결과를 조사한 경우, 등장하지 않은 적이 거의 없는 것 같습니다.

이 논문에서는 공식적으로 영어로 표기되어있는 ODI를 한국어버젼으로 만드는 작업을 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번역 뿐만 아니라 한국인의 문화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바닥에 앉기' 설문도 추가한 것이 특징 입니다.

그런데 이 논문에는 연구 프로토콜에 대한 Flow chart가 없더라구요..꼭 필요하다고 생각하는데..
그래서 유사 논문의 flow chart를 가져왔습니다. 이 유사 논문은 ODI영어버젼을 Tamil어로 번역하고 validation한 연구 입니다.









































이렇게 flow chart가 있어야 한 눈에 연구 흐름을 볼 수 있죠.

다시 KODI버젼 논문으로 돌아와서 과정을 보겠습니다.

먼저 한국어로 번역한 후, cultural adaption을 했습니다. 여기서 cultural adaption은 예를 들면 1마일을->1km로 변경하는 작업 입니다.

두번째로, pilot study and modification of the prefinal version입니다.
prefilnal된 버젼의 설문지로 50명의 환자에게 우선적으로 설문을 수행하였고, 그 과정에서 sex life설문은 제외되었습니다.

세번째로, reliability and validity study 입니다.
final버젼의 설문지를 사용해, 수술 전에 48시간 간격으로 2회 설문을 시행하였습니다.
두 개의 결과를 가지고 신뢰도 분석을 하였습니다.

신뢰도 분석 결과,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of test-retest reliability가 0.9167로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correlation correlation coefficient value는 0.8이상이면 신뢰도가 80%이상으로, 믿을만한 결과로 봅니다.

한국어 버젼으로 잘 번역되었고 유효성 검증 또한 완료되어, 임상연구에 적절히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는 결론 입니다.

2014년 4월 14일 월요일

The memory metal minimal access cage: a new concept in lumbar interbody fusion-a prospective, noncomparative study to evaluate the safety and performance

Brief review


*Title: The memory metal minimal access cage: a new concept in lumbar interbody fusion-a prospective, noncomparative study to evaluate the safety and performance

*Authors: D. Kok, R. D. Donk, F. H.Wapstra, and A. G. Veldhuizen





















Study Design
A single-centre, prospective, non-comparative study


Objective
To evaluate the performance and safety of the Memory Metal Minimal Access Cage (MAC) in Lumbar Interbody Fusion.


Summary of Background Data
Interbody fusion cages in general are designed to withstand high axial loads and in the meantime to allow ingrowth of new bone for bony fusion.
In many cages the contact area with the endplate is rather large leaving a relatively small contact area for the bone graft with the adjacent host bone.
MAC is constructed from the memory metal Nitinol and builds on the concept of sufficient axial support in combination with a large contact area of the graft facilitating bony ingrowth and ease in minimal access implantation due to its high deformability.


Methods
Subjects: 25 patients with back and radicular leg pain from a single level degenerative lumbar disc underwent an interbody fusion using MAC and pedicle screws.

Clinical evaluation: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Short Form 36 questionnaire (SF-36) and pain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s

-The interbody fusion status was assessed using conventional radiographs and CT scan.
-Safety of the device was studied by registration of intra- and post-operative adverse effects.






Results
Clinical performance: improved significantly (P < .0018)
-CT scan confirmed solid fusion in all 25 patients at two year follow-up.
-In 2 patients migration of the cage occurred, which was resolved uneventfully by placing a larger size at the subsequent revision.


Conclusions

We conclude that the Memory Metal Minimal Access Cage (MAC) resulted in 100% solid fusions in 2 years and proved to be safe, although two patients required revision surgery in order to achieve solid fusion.




2014년 3월 31일 월요일

Discogenic axial back pain: is there a role for nucleoplasty?

Brief review

이 논문은 추간판 조영술 시행 중 나타나는 동형의 통증과, 섬유륜의 찢어짐과 디스크 높이 감소가 nucleoplasty의 결과에 영향을 주는지를 밝히고, discogenic axial back pain의 치료방법으로서 nucleoplasty의 역할을 평가하기 위한 전향적 관찰연구 입니다.

Axial back pain으로 nucleoplasty를 받은 3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VAS(허리 및 다리 통증지수 평가), ODI(기능적 장애 평가-일상생활 관련), SF-36(삶의 질 평가도구)를 술 후 6개월, 1년이 지났을 때 각각 조사한 결과, 세 항목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된 결과를 보였습니다.
또한, 추간판 조영술을 하는 동안 나타나는 동형의 통증과, 섬유륜의 찢어짐 및 디스크 높이의 감소는 axial back pain이 있는 환자가 nucleoplasty를 시행한 후의 결과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밑에 있는 그림은 디스크 퇴행성 질환을 치료하는 다양한 방법을 사다리 모양으로 나타낸 그림 입니다. 가장 가벼운 방법인 금연, 운동부터 비교적 무거운 방법에 속하는 요추 유합술까지의 치료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어 쉽게 이해가네요.


















*Title: Discogenic axial back pain: is there a role for nucleoplasty?
디스크성 axial back pain: nucleoplasty 역할은?

*Authros: Naresh Satyanarayan Kumar, Siddharth M Shah, Barry Wei Loong Tan, Salam Juned, Kaihan Yao


STUDY DESIGN
A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PURPOSE
1)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concordant pain during provocative discography, annular tear and loss of disc height on the outcome of nucleoplasty.
2) To evaluate the role of nucleoplasty in the management of discogenic axial back pain


OVERVIEW OF LITERATURE
The role of nucleoplasty in the management of radicular leg pain due to disc herniation is known. However, the data regarding its role in the management of discogenic axial back pain is scarce.


METHODS
Subjects: 30 patients with discogenic axial back pain undergoing nucleoplasty
(male:25 ,female:5/ mean age: 35yrs)
Evaluation method: pain(VAS), functional disability(ODI), quality of life(SF-36)
--> at 6months, 12months

-19patients: concordant pain during discography


RESULTS
Mean reduction: 6 months and at 12 months
-VAS: 31.03 and 29.03
-ODI: 24.53 and 20.60
-increment SF-36: 13.58 and 12.30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 <0.05). Concordant pain during provocative discography, annular tear and loss of disc height did not affect a clin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any of the three outcomes (p =0.882, 0.213, and 0.170; respectively).


CONCLUSIONS
-Nucleoplasty produc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pain, functional disability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discogenic low back pain. (at 6, 12 months)

-Concordant pain during provocative discography, annular tear and loss of disc height did not influence any of the outcomes after nucleoplasty in patients with discogenic axial back pain.

2014년 2월 24일 월요일

Clinical analysis of percutaneous facet screw fixation after an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Brief review

논문은 전방경유요추체유합술 후의 경피적 나사못 고정술 시행의 임상적 결과를 연구한 내용 입니다.
percutaneous facet screw fixation 시행 그룹을 실험군으로, pedicle screw fixation 시행 그룹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여 수술 , 후의 ODI(장애지수) MacNab(만족도) 조사하여 비교했습니다.
수술 시행 최소 2년의 기간 동안 추적조사 결과, 그룹 간에는 임상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습니다.
percutaneous facet screw fixation 요추체 유합술과 함께 시행할 때에 안전하고 최소침습적인 치료법이라는 결론 입니다.


*Title: Clinical analysis of percutaneous facet screw fixation after an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전방경유 요추체 유합술 후 경피적 나사못 고정술 시행의 임상적인 분석

*Authors: JEE-SOO Jang, SANG-HO Lee.
*Bibliography: J Neurosurg Spine. 2005 Jul;3(1):40-6.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BJECT
To evaluate the results of percutaneous facet screw fixation (PFSF) after an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ALIF) in comparison with the post-ALIF pedicle screw fixation (PSF).


METHODS
Subject number: 84 patients (treated for degenerative spondylolisthesis or degenerative disc disease)

Grouping
-group1: 44 underwent percutaneous facet screw fixation
-group2: 40 underwent pedicle screw fixation (control group)

Evaluating method
-Functional outcome: using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Macnab criteria.
-Radiologic outcome: dynamic lateral (flexion-extension) radiography and CT scanning (to evaluate the osseous union status)

Follow up period: min 2 yrs


RESULTS
Functional outcome: ODI and Macnab outcom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2 groups (p > 0.05).
-Excellent or good outcome: 40 (90.9%) of the 44 patients (Group 1) and 37 (92.5%) of the 40 patients (Group 2) (p > 0.05).

-No patient required a blood transfusion in either group.

Fusion rates: 95.8% (Group 1) and 97.5% (Group 2) -at 24 months after surgery


CONCLUSIONS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linical outcome between percutaneous facet screw fixation and pedicle screw fixation after ALIF.


-Percutaneous facet screw fixation represents a safe and minimally invasive modality with which to achieve solid fusion in the lumbar spine.